코로나 이후 성도들(특히, 젊은 세대들)의 예배 생활이 급속하게 바뀌는 것을 봅니다. 내 스타일과 취향에 맞는 설교를 TV나 온라인에서 쇼핑하는 관행은 코로나 이전에도 있었지만 보편적인 현상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 모든 교회가 유튜브 방송을 시작하면서 온라인 예배 쇼핑은 전세대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번 주는 어느 교회 예배 영상을 보고, 다음 주는 다른 유명 목사님의 설교를 듣는 ‘랜선 투어’ 정도는 애교입니다. 설교를 조금 듣다가 마음에 안 드는 표현이 나오거나 조금이라도 지루하게 느껴지면 다른 교회 채널로 금방 갈아타는 ‘순간 이동'(?) 예배도 쉽게 가능해졌습니다. 내 취향에 맞는 설교 채널 몇 개를 모아서 돌려가며 듣는 ‘비빔밥'(?) 예배도 흔해진 것을 봅니다. 어떤 사람들은 ‘성경에 예배를 어떻게 드리라고 정해 놓은 형식이 어디 있냐. 내가 은혜 받을 수 있는 설교를 찾아서 예배드리는 게 뭐가 문제냐. 오죽하면 그러겠냐’ 말합니다. 물론, 성경이 예배 형식에 대해 정해 놓은 답은 없습니다. 그러나 예배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한결같이 말씀하는 원리가 있습니다. 예배는 먼저 우리를 찾아오셔서 불러주시는 하나님의 주권적 부
젊은 세대들과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망할 놈의 인스타’라는 표현을 가끔 듣습니다. 누가 어디서 핫하고 쿨한 경험을 했다는 자랑이 가득한 SNS 소식을 보면, 끊임없이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면서, 불안하고 우울해진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국민 소득 3만불 시대에 접어들고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풍요를 누리는 데 비해,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은 높아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조금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어느 때보다 감사할 것이 풍성한 시대에 우리는 정작 감사를 잊고, 은혜에 메말라 가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축제일인 장막절은 일곱째 달 티쉬리월 15일부터 시작되는 7일간의 대축제입니다. 유대인들에게 일곱째 달은 매우 특별합니다. 이 달 1일의 나팔절(로쉬 하샤나, 새해 첫날)과 10일의 대속죄일(욤 키푸르), 그리고 장막절(숙곳)까지 큰 축제들이 몰려 있어 긴 휴식기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더욱이, 일곱째 달은 오늘날의 달력으로 9월~10월에 해당되는데, 일년 중 가장 풍성하고 여유로울 때입니다. 팔레스틴에서는 이 때쯤 가을 추수가 모두 끝나고 휴식기가 시작됩니다. 이렇게 가장 풍족하고 넉넉한 축제 기간 이스라엘 사람들은 참회하고 금식하는 것
해마다 연초가 되면 많은 분들이 ‘성경 통독’을 해보겠노 결심하고 계획을 세웁니다. 창세기, 출애굽기까지는 진도가 술술 잘 나갑니다. 대부분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출애굽기 후반부터 정신이 몽롱해지기 시작하면서 서서히 결심이 무너집니다. 결정적으로 포기하게 되는 타이밍은 레위기일 것입니다. 도대체 무슨 말인지 알 수 없는 제사 목록, 절기 목록에 인내심을 잃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어떻게든 레위기를 무사히 넘겼다 해도 민수기에서 또 복병이 기다립니다. 특히 민수기 7장처럼 똑같은 예물 목록이 무려 12번이 반복되면 거의 지뢰밭(?)을 만난 수준입니다. 어지간한 인내심과 집중력이 아니면 제대로 읽어나가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왜 하나님은 이렇게 지루하고 긴 본문들을 주시면서 우리의 인내심을 테스트하실까요? 어떤 때는 성경이 많은 사건을 놀라울 만큼 압축적으로 간략히 기록하면서, 어떤 때는 엄청난 디테일을 반복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냥 대충 읽고 지나칠 부분이 아니다, 집중해서 디테일까지 살펴라, 단어 하나, 문장 하나 숨은 의미까지 계속 묵상하고 생각하라, 이런 뜻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너무 속도를 중시합
역사상 가장 야망이 컸던 인물을 꼽으라고 한다면 아마 많은 사람들이 알렉산더 대왕을 꼽을 것입니다. 알렉산더는 불과 20세의 젊은 나이에 왕위에 올라서, 그리스반도 북쪽의 작은 나라였던 마게도니아를 순식간에 세계 제국으로 만들었습니다. 알렉산더의 아버지 필립 2세도 그리스 도시국가들을 정복한 야망의 인물이었습니다. 그런데 알렉산더는 왕자 시절 얼마나 야망이 가득했는지, ‘내가 이루어야 할 업적을 아버지가 다 차지해버린다’면서 아버지의 승전소식을 전혀 기뻐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오늘 본문은 위대한 정복자요, 야망의 인물이었던 알렉산더와는 전혀 성격이 다른 야망을 품은 정복자이자 왕을 소개합니다. 바로 메시야이신 예수님입니다. 알렉산더가 지칠 줄 모르는 야망으로 자신의 제국을 넓혀갔던 것처럼, 예수님도 하나님 나라를 향한 불타는 열망을 품고 적들을 정복해가십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나라는 알렉산더의 나라와 너무나 달랐고, 예수님이 품으신 욕망은 알렉산더의 정복욕과도 너무나 달랐습니다. 무엇보다 예수님은 선으로 악을 정복하려는 욕망으로 하나님 나라를 확장해 가셨습니다. 33절을 보면, 예수님이 회당에서 말씀을 가르치신 다음 제일 먼저 하신 일이 더러운 귀신을 쫓아내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고 가서 제사장에게 네 몸을 보이고 또 네가 깨끗하게 됨으로 인하여 모세가 명한 대로 예물을 드려 그들에게 입증하라 (눅5:14) 우리 시대는 이미지와 보이는 것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시대입니다. 속이야 어떻듯, 겉으로 드러나는 이미지에 온통 승부를 거는 것이 기업들의 마켓팅 전략일 뿐 아니라, 개인의 삶의 방식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교회와 성도들도 눈에 보이는 이미지를 포장하려는 유혹을 쉽게 받습니다. 성공하고 주목받는 교회, 남들에게 대단하게 보이는 유명인일수록 이런 유혹은 더 커지는 법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오늘날의 이미지 메이킹이나 마켓팅 전략과는 전혀 다른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보여주십니다. 나병환자를 고쳐주신 후 예수님은 그에게 두 가지를 명령하십니다. 첫째는 병고침 받은 기적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고 알리지 말라고 합니다. 오늘날의 표현으로 예수님을 선전하거나 마켓팅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왜 그러실까요? 예수님은 인기나 이미지 관리에 전혀 관심이 없음을 보여줍니다. 예수님은 떠들썩하고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방식보다 겸손하게 하나님 나라를 드러내십니다. 사람들이 ‘병고침과 기적’등 눈에 보이는 것만 주목하고 열광하면서,
예수께서 한 동네에 계실 때에 온 몸에 나병 들린 사람이 있어 예수를 보고 엎드려 구하여 이르되 주여 원하시면 나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나이다 하니 예수께서 손을 내밀어 그에게 대시며 이르시되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신대 나병이 곧 떠나니라 (눅 5:12-13) 미국에는 추수감사절이 끝난 다음 날, 블랙 프라이데이라는 광란의 쇼핑 데이가 있습니다. 모든 백화점과 쇼핑몰에서 대대적인 세일행사를 시작하는 날인데요, 이 때가 되면, 사람들이 평소 갖고 싶던 물건을 싸게 사려고 새벽부터 상점 앞에 줄을 서는 진풍경이 벌어집니다. 제가 아는 한 친구도 **마트에서 노트북을 파격세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진짜 밤새 그 앞에 줄을 서서 기다렸답니다. 그리고 문이 열리자마자, 제일 먼저 달려가서 터치다운을 해서 그 노트북을 말도 안 되는 가격에 샀다고 합니다. 우리 시대의 사람들에게 ‘열망하는 믿음’이 무엇인지 가장 잘 보여주는 예가, 아이러니하게도 교회가 아닌, 쇼핑몰과 백화점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본문에서 나병환자는 큰 기대와 열망을 가지고 예수님을 찾아옵니다. “ 주여 원하시면 나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나이다 ” 이 나병환자는 예수님이 자신을 치
이전에 즐겨 부르던 찬송가 중에 ‘ 저 높은 곳을 향하여 날마다 나아갑니다’라는 찬양이 있습니다. 왜 저 ‘높은 곳을 향해 가야 ’할까요? 오늘날 젊은 세대들에게는 금방 잘 와 닿지 않는 가사이지요. 하지만 생각하면 할수록 깊은 뜻이 담겨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 수준에서, 우리 눈높이에 같이 계시는 분이 아니라,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이 계시기 때문입니다. 물론 하나님은 낮고 비천한 우리를 위해 땅 아래까지 자신을 낮추고 내려오십니다. 예수님의 성육신이 그러하고, 십자가가 그러합니다. 그렇다고 하나님의 본질이 원래 우리 수준인 것은 결코 아닙니다. 그 분은 높고 높은 곳에 계신, 우리와 ‘급’이 완전 다른 분이십니다. 예배는 높은 곳에 계신 하나님을 향해 ‘저 위’를 지향해야 합니다. 에스겔의 환상에서 성전이 높은 산 위에 있고, 성전 바깥뜰로 가는 층계가 7계단이며, 안뜰로 오르는 층계는 8계단이며, 내전까지는 또 12계단이나 더 올라가야 하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 시편 기자들은 예배 때마다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를 불렀습니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성찬을 받을 때 ‘우리 마음을 주께 올려드립니다!(라틴어 Sursum Corda)’ 라는
부활절은 전 세계가 함께 축하하며 가정과 교회, 거리와 광장에서 기쁨을 나누는 절기입니다. 미국에서는 부활절 시즌이 다가오면 두 가지가 확연히 눈에 띠게 달라집니다. 첫번째, 마트 진열대의 색상이 알록달록한 파스텔 색상 위주로 바뀌고 부활절 계란을 장식할 수 있는 소품들과 파티 용품들이 엄청 쏟아져 나옵니다. 두 번째, 사람들의 옷차림이 확 바뀝니다. 그전까지 주로 칙칙하거나 어두운 색을 입던 사람들이 갑자기 밝은 핑크, 노랑, 흰색, 연두 등의 산뜻한 칼라의 옷들을 입습니다. 그래서 확연하게 계절이 바뀌고 봄이 왔다는 것, 부활절 시즌이 되었다는 것을 온 몸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부활절에만 먹는 특별한 음식들도 있습니다. 주로 계란 요리가 많고, 십자가 모양으로 장식한 부활절 빵(Cross Burn)도 먹고, 이 시즌에 가장 맛있게 숙성하는 신선한 햄을 사서 부활절 만찬을 장식하기도 합니다. 거리에는 튤립과 벚꽃 등 아름다운 봄꽃들이 부활 시즌을 알려줍니다. 교회마다 화려한 오르간과 밴드에 맞추어 힘찬 부활 찬송이 울려퍼지고, 사람들은 환하게 웃으며 ‘주님이 부활하셨습니다’(Christ is risen)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 (Christ is ris
고대 악기 중에 가장 큰 소리를 내는 악기가 나팔입니다. 성경에는 나팔 이야기가 꽤 많이 나옵니다. 대표적인 예는 계시록에 나오는 일곱 나팔입니다. 하지만 복음서와 서신서에도 나팔이 자주 언급됩니다. “ 그가 큰 나팔소리와 함께 천사들을 보내리니 그들이 그의 택하신 자들을 하늘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사방에서 모으리라” (마24:31). “ 우리가 다 잠잘 것이 아니요 마지막 나팔에 순식간에 홀연히 다 변화되리니” (고전15:51). 왜 하필 나팔이 이렇게 자주 등장할까요? 그 나팔이 오늘 우리와는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그 답을 오늘 민수가 본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두 개의 은나팔을 만들어서 제사장에게 불라고 하신 것은 크게 두 가지 목적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약속의 땅을 향한 행군을 지휘하는 현실적 목적입니다. 나팔을 크고 짧게 끊어서 불면 캠프를 걷고 행군을 시작하고, 나팔을 작게 불면 행군을 멈추고 캠프를 칩니다. 다시 말해, 이 나팔은 매일의 걸음을 인도하는 나팔입니다. 두 번째 목적은 백성들을 예배의 자리에 성회로 모을 때입니다. 이 때는 나팔을 크고 길게 붑니다. 이것은 광야에서뿐만 아니라, 약속의 땅에 들어가서도 마찬가지입니다.